핸드폰으로 사진을 촬영하면 사진에 해당 사진을 촬영한 위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는 것을 혹시 알고 계시나요? 이 위치정보는 개인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사진을 찍은 장소를 확인할 수 있는 요긴한 정보가 되기도 하지만 불필요하게 정보가 유출되는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그렇자면 이 설정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다양한 곳에 업로드 하는 사진들, 그리고 사진의 위치정보
아날로그 필름으로 촬영하는 사진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는 사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진을 자유롭게 많이 찍을 수 있다는 점이지만, 이런 물리적이고 단순한 이유 이외에 숨겨진 정보에 대한 차이점도 분명 존재합니다. 최근 정보기술이 발전하게 되면서 핸드폰으로 찍는 사진들에도 꽤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입력되게 되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사진을 찍은 카메라의 기종이나 핸드폰 기종등의 정보인데 여기에 추가로 매우 중요한 정보 또한 사진에 등록되게 됩니다.
바로 이 사진을 찍은 위치와 시간 등의 정보입니다. 그 중 사진을 찍은 위치정보는 경우에 따라 악용되는 경우도 발생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개인 성향에 따라 위치 정보 입력을 기피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위치정보는 어떻게 입력되지 않도록 해야할까요?
갤럭시 핸드폰 위치정보 설정 바꾸기
- 핸드폰 카메라 아이콘을 눌러 핸드폰 카메라를 동작시킵니다.
- 핸드폰 카메라 어플이 작동한 상태에서 상단 모서리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정 메뉴안에서 하단으로 메뉴를 스크롤합니다.
- 설정 메뉴 하단부에 위치태크 메뉴를 찾아 오른쪽 끝에 위치한 기능 활성화 버튼이 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 위치정보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해당 메뉴를 활성화하고 위치 정보 사용에 동의합니다. 정보를 입력하고 싶지 않다면 해당 메뉴를 비활성화 합니다.
사진 위치정보 설정 그림으로 따라하기
텍스만으로 해당 설정을 바꾸는 것이 어려우신 경우를 위해 이미지로 간단하게 해당 기능의 설정바꾸기 방법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그대로 따라서 진행해주시면 가능하도로고 간단하게 설정전환 방법을 설명하였으니 그대로 따라서 진행해주세요. 모든 설명은 삼성 갤럭시 핸드폰을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① 먼저 본인의 핸드폰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카메라를 활성화 시켜주세요. 보통은 카메라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해당하기 때문에 별도로 하단에 아이콘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카메라 어플리케이선이 동작하면 카메라 화면 상단 왼쪽 끝 부분에 있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해주세요.
③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해당하는 다양한 설정메뉴 중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메뉴는 중간 이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당 메뉴가 보이지 않는다면 화면을 스와이프 하여 아래로 좀 더 내려주세요.
④ 아래로 메뉴를 내려주면 메뉴 중 위치태그라는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내 핸드폰의 사진정보가 어떻게 설정되어있는지 알 수 없다면 이 메뉴의 오른쪽 끝에 있는 버튼이 활성화 되어있는 지 확인해주세요. 정보를 입력하고 싶지 않다면 비활성화 해주시면 됩니다.
⑤ 반대로 이 메뉴를 통해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위치태그 설정을 활성화 시켜주면 정보가 입력되는데 이 때 위치정보 접근권한을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위치 정보는 앱 사용중에만 허용으로 해주시면 설정 변경이 완료됩니다!
- 위치 정보 입력 : 위치태그 활성화
- 위치 정보 삭제 : 위치태그 비활성화
2023.09.12 - [분류 전체보기] -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설정, 멀티프로필 사라짐 해결
카카오톡 멀티프로필 설정, 멀티프로필 사라짐 해결
카카오톡에서는 멀티프로필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사실 이 기능은 생긴지 꽤 오래된 기능으로 내가 원하는 사람에게 내가 원하는 프로필설정을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생각보다 꽤 요긴한 기
happydailymemo.tistory.com
2023.09.10 - [분류 전체보기] - 오픈채팅방 오픈프로필 설정 바꾸기 -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오픈프로필 설정 바꾸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의 오픈채팅 기능을 사용해본적 있으신가요? 예전에는 주로 네이버의 카페에서 사용했던 메신저 기능을 온전히 카카오톡으로 옮겨와 주제별, 관심사별로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카카오
happydailymemo.tistory.com
댓글